
개발자가 라우터 이동시 OOO를 하는 로직이 존재한다고 얘기를 했다. 라우터 이동이 대체 뭘까? 하다 찾아보니 URL로 이동하는 행위라고 한다.
그럼 URL로 이동한다고 표현하면 될 것을 왜 라우터 이동이라고 표현했을까? GPT에 물어보니 아래와 같이 정리해주었다.
- URL 이동: 브라우저에서 주소(URL)가 변경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접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거나, window.location.href를 변경하는 경우
- 라우터 이동: 클라이언트 사이드 라우팅(React Router, Vue Router, Next.js 등)을 이용하여 URL을 변경하는 경우. 이때 브라우저가 완전히 새로고침(F5)되지 않고, 상태를 유지하면서 URL만 변경됨
그럼 완전히 새로고침을 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하여 찾아보았다.
- 새로고침을 하는 행위: 모든 리소스(CSS, HTML, JS, 이미지)가 다시 로드
- 라우터 이동: HTML은 불러오지 않고 JavaScript가 동작하면서 필요한 데이터만 호출하여 화면이 변경
출처: ChatGPT 4o
'PM으로 성장하기 > 개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비스 워커 (0) | 2025.03.13 |
---|---|
캐싱(Caching) (0) | 2025.02.06 |
API를 가공하는 방식: 매시업, 어그리게이션, 바이패스, 프록시, 트랜스포메이션, 캐싱, 레이트 리밋, 게이트웨이 (0) | 2025.02.06 |
Basic Auth, Bearer Token (1) | 2024.11.06 |
Webhook, Push API, Callback API (0) | 2024.05.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