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싱(Caching)
캐싱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나 계산 결과를 미리 저장해 두고, 필요할 때 빠르게 가져오는 기술성능을 향상시키고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음캐싱의 종류위치구분예시Server Side, 서버 측 캐싱데이터베이스 쿼리 결과 캐시MySQL Query Cache, Redis 웹 서버 캐시Nginx, Varnish API 응답 캐시 CDN, 네트워크 캐싱CDN 캐시Cloudflare, Akamai 프록시 서버 캐시 Client Side, 클라이언트 캐싱브라우저 캐시HTML, CSS, JS, 이미지 등 DNS 캐시도메인-IP 매핑 저장 애플리케이션 캐시모바일 앱에서 데이터 저장* Server Side서버 메모리에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를 저장하여 성능을 향상* CDN웹사이트의 고가용성 및 성능 향상을 제공하기 위해,..
2025. 2. 6.
PA vs BI
지금까지 내가 사용해본 데이터툴은 BigQuery, GA4, Tableau, Superset, Power BI 이었다. 데이터 분석 툴이라는 것으로만 퉁 쳐서 알고있었지, PA/BI 로 나뉜다는 사실은 데이터 강의를 듣다가 처음 알게 되었다. 믹스패널 코리아에서 작성한 포스팅이 가장 잘 정리되어 있었다. BI(Business Intelligence) - 비즈니스를 운영하면서 나온 데이터들을 수집, 저장, 분석하는 것 - 주로 원인에 대한 결과인 후행지표(어떤 일이 벌어졌다)를 다룸 - 기업 실적 등을 다루므로 몹시 높은 정합성이 요구됨 - Tableau, Redash, Power BI, Superset 등 PA(Product Analysis, 제품분석) -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방식을 분석하여 사용자..
2024.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