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계 매커니즘은 두 가지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1. 송신 시스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2. 수신 시스템: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DB에 반영한다
이러한 연계 매커니즘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크게 직접 연계와 간접 연계로 구분한다. 직접연계는 말 그대로 직접 연결하는 것이고, 간접연계는 중간에 매개체를 이용하여 연계한 것이다.
직접 연계
1. DB 링크: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DB 링크를 이용하는 것으로, 수신 시스템에서 DB 링크를 생성하고 송신 시스템에서는 DB 링크를 직접 참조한다.
2. DB 연결: 수신 시스템의 서버에서 송신시스템 DB로 연결하는 DB 커넥션 풀을 생성하고, 이 풀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3. API: 송신 시스템의 DB에서 데이터를 읽어서 제공한다. 어떤 특정 사이트에서 특정 데이터를 공유할 경우 어떠한 방식으로 정보를 요청해야하고, 어떠한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을지 규격을 정해놓은 인터페이스이다.
4. JDBC: 수신 시스템의 프로그램에서 JDBC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송신 시스템의 DB와 연결한다
간접 연계
1. EAI: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를 전달하고 연계하며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이다.
2. ESB: 웹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가 기술된 WSDL(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와 메시지를 네트워크에서 교환하는 프로토콜인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연결한다
3. 소켓: 소켓을 생성하여 포트를 할당하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연결하여 통신한다. 소켓은 IP주소와 포트 넘버가 합쳐진 교환 기술이다.
출처
*수제비 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도서출판 건기원
'PM으로 성장하기 > 개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rect vs. Rewrite (0) | 2024.02.04 |
---|---|
인터페이스 구현(AJAX, REST, 인터페이스 검증) (0) | 2023.09.04 |
딥링크(URI Sheme, App Links, Universal Link, Intent Scheme), 디퍼드 딥링크 (0) | 2023.07.25 |
테스트 케이스, 테스트 레벨, 테스트 유형, 결함 심각도별 분류 (0) | 2023.07.02 |
미들웨어 (0) | 2023.06.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