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퇴근 시간을 통해 브런치로 틈틈히 "PO"에 대해 찾아본다.
입사 전 책으로 PO 직무에 대해 공부했었는데, 막상 현업에 투입되고 보니 생각보다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브런치 글 중 Kaily 작가님의 글을 읽어보면, 공감가는 이야기들도 있고 배우는 것도 많다.
글을 읽으면서 인상깊었던 내용과 출처를 기록해둔다.
1. 로드맵 수립
https://brunch.co.kr/@kaily/27
로드맵 수립, 그거 어떻게 하는 건데요?
PO의 핵심 역량 : 제품/서비스 전략부터 로드맵 수립까지 A to Z | PO이거나, PO였거나, PO로 이직/취업 예정인 사람들은 '로드맵 수립'이라는 용어가 굉장히 익숙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회사마다 불
brunch.co.kr
- 도메인 히스토리 파악하기, 타사에 있는 동일 지면에서 어떻게 제공하고 있는지/자사 제품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 UT, 사용자 리서치 자료, 고객데이터 등을 통해 고객에 대해 이해하기
- 로드맵 기재사항: 우선순위, 배경, 목적, 기대효과, 주요내용, 디펜던시
2. PO의 역할
https://brunch.co.kr/@kaily/25
PO는 모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사람 아닌가요?
유니콘 기업에서 특정 제품의 PO로 일하며 깨달은 PO의 역할에 대하여 | 앞서 쓴 글 나는 어떻게 PO가 되었는가? 에서 11년 동안의 커리어 패스에 대해 설명했다. 이후 유니콘 기업의 PO(Product Owner)
brunch.co.kr
- PO는 주체가 되어 주도적으로 제품의 방향성을 정하고, 제품 성장에 필요한 것이 있다면 해당 영역의 담당자/PO에게 어떤 것이 필요한지 요청하고 제안하는 사람
- 내가 어떤 가게를 운영하는 사장이라면? 의 가정에서 시작하기
3. 커뮤니케이션
https://brunch.co.kr/@kaily/28
PO의 커뮤니케이션, 이것만 기억하자!
업무 진행 프로세스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대상과 방법에 대하여 | 이직을 위한 면접을 보면서 가장 많이 받았던 질문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PO의 역량이 무엇인지, 본인의 강점이 무엇인지"
brunch.co.kr
- 제품의 비전, 미션, 목표, 로드맵을 리더와 커뮤니케이션하여 어떤 부분이 맞지 않는지, 근거에 따라 설명하고 설득하기
- 테크리더와는 로드맵에 반영된 과제의 수행 가능 여부에 초점을 맞추기 (각 프로젝트의 배경, 해야하는이유, 기대효과, 원하는 기능의 사이즈)
- 사업부와의 커뮤니케이션 시 사업부에서 요구한 과제가 빠진 이유에 대해 설명하기
- 프로젝트 리딩 시 스몰토킹, 현황 파악 / 프로젝트 오픈 후 성과보고와 회고(프로젝트 목표와 결과 중심,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데이터 기반으로 커뮤니케이션)
'PM으로 성장하기 > 기획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D(Product Requirement Document) (0) | 2023.05.04 |
---|---|
Input & Form (0) | 2023.05.02 |
BPMN(Business Process Modeling Notation) 다이어그램 (0) | 2023.02.05 |
분기 처리와 예외 처리 (0) | 2022.11.18 |
도메인 지식 (0) | 2022.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