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 cause analysis(RCA) 란?
프로덕트 내에 있는 문제의 원인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구조적인 문제 분석과 해결 역량이 바탕이 되어야 하며, PM의 사고방식을 알아볼 수 있기 때문에 인터뷰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질문이다. 구조적인 접근방식은 아래 순서를 따를 수 있다.
- 프로덕트/서비스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통해 공통된 이해를 구축한다.
- 이슈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명확하게 질문한다.
- 문제를 분석하여, 4가지 요소를 도출해낸다: 기본환경, 외부요인, 내부요인, 우리가 컨트롤할 수 있는 요인
- 데이터에 기초하여 발견한 사항들을 요약하고, 이 문제를 발생시킨 요인을 정확하게 찾아낸다.
- 향후 재발하지 않도록 문제를 해결할 방안들을 제안한다.
RCA 예시: 아마존의 장바구니에 상품 추가 비율이 14%까지 떨어졌다고 했을 때, 정확한 데이터를 찾기 위한 질문 리스트
- 14%가 어떤 기간 동안 발생한 것인가?
- 어떤 상품군에서 발생한 것인가?
- 평균적으로 변동은 얼마큼 일어나는가?
- 장바구니 추가가 단순이 amazon.com에서 발생한 수치를 말하는가?
- App을 측정한 수치도 포함하는가?
- 분석툴의 오류는 아닌가?
- 시즈널 이슈는 아닌가?
- 특정 국가/세그먼트에서만 발생한 것인가? 특정 국가라면 해당 국가에 자연재해 등 큰 이슈가 있는가?
- 인구학적 특징이 있는가?
- 경쟁사의 동향은 어떠했는가?
- 해당 기간 동안 우리 웹사이트에서 변경한 기능이나 디자인이 있는가? 있다면 모든 플랫폼에서 발생한 것인가?
- 그동안 접수된 클레임이 있는가?
Amazon’s Add to Cart has dropped by 14% | PM Interview: Root cause analysis.
You are a PM at Amazon and you noticed a 14% drop in Add to Cart. using your PM senses evaluate the root cause of the issue.
medium.com
'PM으로 성장하기 > 기획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류 메세지 기획하기 (0) | 2025.01.06 |
---|---|
[Medium 읽기] Product Management beyond Frameworks (0) | 2024.05.27 |
[Medium 읽기] How would you increase revenue 5x in the next 5 years? (5) | 2024.05.20 |
PA vs BI (0) | 2024.02.19 |
PO의 미팅: Daily, Sprint, Quarterly (0) | 2023.05.10 |
댓글